네팔, SNS 차단에서 시작된 혁명의 불길
https://youtu.be/--sq-8S3TPM?si=HKmiFwqV1j9spQWv
1. 혁명의 발단 – SNS 차단과 분노의 폭발
네팔 정부가 페이스북, 유튜브, X(옛 트위터) 등 주요 플랫폼 다수를 전격 차단하면서 사태가 촉발되었습니다. 표면상의 이유는 글로벌 기업들의 현지 등록·사무소 설치 의무 불이행이었지만, 시민 다수는 이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조치로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년층은 분노했고, 거리로 나와 항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른바 Gen Z 항쟁의 불길은 그렇게 타올랐습니다.
이 분노에는 더 깊은 사회경제적 배경이 있습니다. 네팔은 전통적으로 농업이 사회·경제의 뼈대를 이루어 왔습니다. 그런데 농사일이나 단기 아르바이트만 해도 ‘취업자’로 분류되는 통계상 착시가 누적되면서, 서류상 실업률은 낮아 보이지만 청년층의 체감 실업은 심각했습니다. 통계와 현실의 괴리로 인해 정부 지원체계에서도 청년 다수가 배제되었고, 불만은 임계치를 넘어섰습니다.
2. 해외 노동자와 SNS의 절박한 의미
안정적 일자리를 찾지 못한 많은 네팔인들은 인도, 말레이시아, 걸프 지역 등 해외로 나갔고, 이들이 보내는 송금은 수많은 가정의 생계를 떠받치는 기둥이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SNS는 오락이 아니라 생명줄이었습니다. 타지에서 일하는 가족이 영상통화로 안부를 묻고, 정보를 주고받는 거의 유일한 창구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이 끈을 끊었습니다. 피땀 흘려 번 돈을 보내면서도 정작 가족과 제때 소통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분노는 폭발했습니다. 동시에 SNS는 사회 내부의 불평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거울이기도 했습니다. 상류층 자녀들의 호화 생활과 과시적 게시물들은 박탈감을 키웠고, 정부의 차단은 이런 불만을 누그러뜨리기는커녕 불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3. 시위 과정 – 조직력, 속도, 질서 있는 변화
차단 발표 직후 카트만두를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시위가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평화적 구호와 집회가 중심이었으나, 강경 진압으로 충돌이 격화되며 사상자가 발생했고 일부 지역에는 통행금지까지 내려졌습니다. 그럼에도 핵심 특징은 질서 있게 움직이는 시민 조직력이었습니다. 자발적 규율과 상호 소통으로 군더더기 없이 메시지를 집중했고, 요구는 “SNS 복구”를 넘어 부패 척결, 책임정부, 투명정치로 확장되었습니다.
결국 총리는 사임했고 대통령은 의회를 해산했습니다. 이어 전 대법원장 출신의 수실라 카르키가 임시 총리로 선출되었으며, 내각 구성과 진압 과정 조사·피해자 보상 약속 등 뒷수습이 신속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정권 교체와 과도정부 출범까지의 흐름이 빠르고 매끈하게 이어졌습니다. 임시 총리가 발탁된 후에는 시위에 참여했던 네팔 국민들은 즉각적으로 부서진 건물을 수리하고, 쓰레기를 주우면 정상적으로 돌아가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사태는 “깔끔하고 성공적인 혁명”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고 받았습니다. 현재 네팔의 다음 총리선거는 2026년 3월 5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4. 한국도 네팔처럼 해야 한다
이번 혁명은 단지 권력을 갈아치운 사건이 아니라, 정치 구조 자체에 대한 시민의 심판이었습니다. 하지만 과제는 남아 있습니다. 네팔의 기존 여당·야당은 뿌리가 깊고, 부패·연줄·권력 유착의 관성이 강합니다. 새로운 인물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정당이 탄생하지 않는다면, 이렇게까지 치른 혁명의 의미가 희미해질 위험이 큽니다. 청년·시민사회·정치신인이 연합해 독립성과 투명성을 갖춘 대안을 세워야 합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닙니다. 대외관계에서 특정 강대국 쏠림에 대한 우려, 표현·언론·온라인 공간의 자율성에 관한 시민의 민감함은 이미 높습니다. 네팔 시민들처럼 우리도 구조적 부패·불평등·권력 유착에 목소리를 내고, 제도 개선과 정치 재편을 추진해야 합니다. 선거는 출발점일 뿐, 정당법·언론·디지털 권리·이해충돌 방지·공직윤리 등 실무 규범을 손보는 입법·행정의 후속작업이 병행돼야 합니다.
국제 시선 – 중국, 미국, 세계는 어떻게 해석하는가
중국은 “우방의 안정”을 강조하며 내부 문제의 자율적 해결을 주문하는 신중한 톤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표현·인권 프레임을 전면에 올리기보다, 질서와 안정을 우선하는 메시지를 내는 경향입니다.(솔직히 위협을 많이 느낄 겁니다. 국민들이 반중을 외치고 있고, 중국 자국민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까봐 걱정이 많을 것 입니다.)
미국과 서방은 SNS 차단과 강경 진압, 사상자 발생을 우려하며, 국민의 표현·집회 자유와 법치에 부합하는 해결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청년 주도의 정치 변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두드러집니다.
국제 언론·인권단체는 이번 사태를 “디지털 시대 소통 억압에 대한 시민의 반격”, “남아시아 민주주의 지형 변화의 촉매”로 해석합니다. 핵심 관심사는 선거 전까지 과도정부가 약속한 투명성·책임성이 실제 제도개혁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실체를 갖추는지입니다.
첨부 기사 · 관련 기사
- SNS 차단이 불붙인 네팔 청년의 분노 — Nate 뉴스
- ‘SNS 차단’ 분노… 네팔 ‘Z세대 시위’ 혼란 — Korea Times
- ‘SNS 차단’으로 시작된 네팔 시위… 사상자 다수 — 경향신문
- 네팔 ‘SNS차단’ 반정부 시위 진화 — 문화일보
- AP — Curfew lifted and calm returns to Nepal
- Reuters — Nepal protests target elite, parliament, luxury hotels
- The Guardian — Nepal appoints its first female PM after historic week
- WSJ — Nepali Army deploys to restore order
- Al Jazeera — Nepal lifts social media ban after deadly protests
- CFR — Nepal’s Protest-Fueled Transition
- ThePrint — India vs China responses to Nepal Gen Z protests
- Wikipedia — 2025 Nepalese Gen Z protests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에서 시작된 '반시진핑 단체' - 중국인들이 한국땅에 있는 이유. (0) | 2025.10.05 |
---|---|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1번이 '대통령 임기 개헌' , 꿈도 꾸지말아라. (1) | 2025.09.19 |
검찰청, 방통위, 기재부 폐지!!!!!! , 이재명 정권의 독재 완성 (0) | 2025.09.08 |
이재명 정부의 무능, 세금으로 거둬 수백조의 빚으로 돌려주다. (1) | 2025.09.01 |
귀닫고 강행처리 하더니 국가 안보 위협 중인 '노란봉투법' (1) | 202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