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백상예술대상 총정리
2025년 5월 7일, 제61회 백상예술대상이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대하게 열렸습니다.
백상예술대상은 TV·영화·연극 부문을 아우르는 국내 유일의 통합 예술 시상식으로, 그 해 대한민국 대중문화의 흐름과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받습니다.
이번 시상식은 JTBC를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신동엽, 수지, 박보검이라는 조합이 3년 연속 MC를 맡아 안정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진행으로 시청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냈습니다.
백상예술대상이 특별한 이유
백상은 단순한 연예 시상식을 넘어, 작품성과 예술성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시청률이나 흥행이 아닌 연기력, 메시지, 사회적 영향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특히 2025년 시상식은 OTT 플랫폼의 강세와 함께 콘텐츠 제작 방식의 전환기를 고스란히 보여주었습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등에서 제작된 드라마와 영화가 주요 부문을 휩쓸며, TV 중심 시대가 저물고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2025 백상예술대상 수상자 총정리
2025년 5월 5일, 서울 코엑스 D홀에서 개최된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는 영화와 방송 부문에서 뛰어난 작품과 아티스트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 영화 부문 수상자
- 대상: 홍경표 (촬영 감독) – 《하얼빈》
- 작품상: 《하얼빈》
- 감독상: 오승욱 – 《리볼버》
- 최우수 연기상 (남자): 조정석 – 《파일럿》
- 최우수 연기상 (여자): 전도연 – 《리볼버》
- 조연상 (남자): 유재명 – 《행복의 나라》
- 조연상 (여자): 수현 – 《보통의 가족》
- 신인 연기상 (남자): 강승호 – 《장손》
- 신인 연기상 (여자): 노윤서 – 《청설》
- 각본상: 오승욱, 주별 – 《리볼버》
- 예술상: 홍경표 (촬영) – 《하얼빈》
📺 방송 부문 수상자
- 대상: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 작품상: 《선재 업고 튀어》
- 연출상: 김원석 – 《폭싹 속았수다》
- 최우수 연기상 (남자): 박보검 – 《폭싹 속았수다》
- 최우수 연기상 (여자): 김태리 – 《정년이》
- 조연상 (남자): 최대훈 – 《폭싹 속았수다》
- 조연상 (여자): 염혜란 – 《폭싹 속았수다》
- 신인 연기상 (남자): 이정하 – 《무빙》
- 신인 연기상 (여자): 김형서 – 《화란》
- 예능상 (남자): 유재석
- 예능상 (여자): 장도연
- 인기상: 변우석, 김혜윤 – 《선재 업고 튀어》
⭐ 참석한 주요 연예인
이번 시상식에는 다음과 같은 스타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습니다.
- 신동엽, 수지, 박보검 (MC)
- 김태리, 전도연, 조정석, 유재석, 장도연
- 이정하, 김형서, 변우석, 김혜윤, 최대훈, 염혜란
- 노윤서, 수현, 강승호, 유재명, 홍경표, 오승욱
수상자 대부분은 무대에서 눈물 어린 수상 소감을 전했습니다. 특히 드라마 대상 수상자는 “이 작품을 선택한 것이 배우 인생의 전환점이 될 줄 몰랐다”고 말하며 감동을 자아냈고, 유재석은 “더 열심히 한 후배들이 많다. 이 상은 모두의 것이다”라고 말하며 박수를 받았습니다.
대형 스크린, 후보자 영상, 관객 리액션 등 무대 구성은 현장 몰입도를 높였고, 시청자 참여형 시상식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올해 백상의 흐름 – 변화와 실험의 해
- OTT 플랫폼의 강세: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이 등이 TV를 압도했습니다.
- 여성 서사와 신인 발굴: 여성 중심 작품과 신인 배우들의 활약이 돋보였습니다.
- 예능계의 세대교체: 유재석·장도연 외에도 젊은 포맷이 인기를 얻었습니다.
백상이 보여준 ‘진짜 트렌드’
올해 시상식을 통해 ‘작품성의 기준’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OTT의 약진,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서사, 실험성 강한 연출이 대중의 선택을 받았습니다. 단순한 유명세보다 ‘의미’와 ‘기준’을 더 중시하는 흐름이 백상을 통해 드러났습니다.
백상예술대상은 매년 새로운 감동을 줍니다.
올해 여러분의 ‘최고의 장면’은 무엇이었나요?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주세요.
그리고 내년에는 또 어떤 작품이 무대에 오를지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