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5월 미국 증시 주요 일정 및 관전 포인트
2025년 5월을 앞두고, 글로벌 증시를 흔들 수 있는 주요 일정과 변수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특히 미국발 경제 지표 발표, 무역 이슈, 주요 기업 뉴스 등이 주목받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1. 4월 25일 (금) - 미국 일정
- 트럼프 대통령, 이탈리아로 이동 → G미국 대통령의 유럽 순방은 국제 외교 정책과 글로벌 무역 이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이탈리아, EU 주요국과 경제 협력 이슈가 부각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 인플레이션 발표 → 소비자들이 향후 1년 동안 예상하는 물가 상승률을 나타냅니다. 예상치는 6.5%로, 이전치 6.7% 대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인플레이션 기대가 하락하면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질 수 있음.
-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발표 →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신뢰도를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예상치는 50.5 (이전 50.8)로 소폭 하락이 예상됩니다. ※ 소비 심리가 약해지면 기업 실적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 베이커휴즈 총 시추기 수 발표 → 미국 내 원유 시추 활동 현황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시추기 수 증가 시, 공급 확대 기대로 이어지게 되어 유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주요 뉴스 요약
- 미국, 중국산 일부 제품에 관세 면제 검토 →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 다만 전체 관세 철폐까지는 시간 필요합니다.
- EU, 미국 의약품 관세 반대 성명 → 미국이 의약품 수입에 25%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데, EU는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의료주(제약/바이오) 섹터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 미국-중국 고위급 무역 협상 일정 조율 중 → 무역협상 재개 여부에 따라 증시 전체 센티멘트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미국, 아이온큐(IONQ)와 2200만 달러 규모 양자컴퓨터 계약 체결 → 양자 컴퓨팅 기술이 상업화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시그널입니다.
- 트럼프 대통령 발언: "중국과 관세 협상 순조롭게 진행 중" → 시장에 단기 안도감을 줄 수 있는 발언입니다. 단, 구체적 결과가 없으면 다시 불확실성 부각 될 수 있습니다.
3. 개별 기업 뉴스 (4월 25일 기준)
- 애플(AAPL) - 미국 내 아이폰 일부 생산 전환을 검토 중입니다. 이는 중국 리스크를 줄이고 미국 내 고용 확대 이미지 부각을 의도한 것으로 보입니다. - 목표가 $210 제시 (DBS Bank 기준).
- 보잉(BA) - 비행기 수주 확대 기대(생산 확대 기대). - President Capital 매수 의견 / 목표가 $200.
- 셀시우스(CLS) - 에너지 음료 브랜드. 매출 급증. - 실적 호조로 이익 전망 상향.
- 구글(google) - EPS 상향, 추가 자사주 매입 발표 (700억 달러 규모). - 클라우드 매출도 상향 조정, 긍정적 모멘텀.
- 메타(META) - 메타 퀘스트 신제품 가격 인하 발표. - AR/VR 시장 침투 가속화 전략.
- 웨이스트매니지먼트(WM) - 북미 최대 폐기물 관리 기업으로 지속적인 안정 매출, 친환경 투자 확대 및 경기 방어주로써의 역할이 강화되었습니다. - HSBC, 목표가 $265 상향 조정.
※ 기타: 인텔(INTC), PG, 소파이(SOFI), 로켓랩(RKLB), 슈왑(SCHW) 등도 실적 및 목표가 조정.
4. 2025년 5월 미국 증시 주요 일정
날짜 | 이벤트 | 부가 설명 |
---|---|---|
5월 1일 (수) | FOMC(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기준금리 결정 | 금리 동결 예상. 파월 의장의 발언(인플레이션/긴축 여부) 주목 |
5월 2일 (목) | 미국 고용보고서(ADP 민간 고용지표) | 노동시장 강도 체크. 실적 시즌 분위기 반영 |
5월 3일 (금) | 4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NFP) | 미국 노동시장 핵심 지표. 증시 급등락 가능성 |
5월 9일 (목)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노동시장 둔화 여부 점검. 경기에 민감한 데이터 |
5월 14일 (화) |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인플레이션 핵심 지표. 금리 인하 기대감 여부 결정 |
5월 15일 (수) |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기업들의 비용 부담 지표. 물가 압력 평가 |
5월 21일 (화) | NVIDIA(엔비디아) 1분기 실적 발표 | 미국 증시 AI 테마 좌우할 빅 이벤트 |
5월 23일 (목) | 미국 잠정 GDP 1분기 수정치 발표 | 경기 성장률 조정치 공개. 시장 방향성 결정할 수 있음 |
5월 27일 (월) | 미국 메모리얼데이 (증시 휴장) | 뉴욕증시 휴장. 거래량 감소 주의 |
5. 추가로 주목해야 할 이슈
-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검토 →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 압력 →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
- 유가 변동성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여부에 따라 유가 급등락 가능성.
- 트럼프 대통령 발언 주목 → 무역 협상 진행 상황, 유럽 정상회담 결과에 따른 리스크 관리 필요.
- 실적시즌 마무리 → 5월 초 중순까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대형주 실적 발표
- 글로벌 중앙은행 회의 → 5월 중순 말, 유럽중앙은행 기준금리 발표 예정
- fomc 영향 지속 → 5월 초 발표된 미국 기준금리 동결/변동여부에 따라 여파 지속
- 엔비디아 실적 발표 → 5월 21일 예정, AI 열풍 지속 여부 결정
2025년 5월은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다시 커질 수 있는 시기입니다. 실적 시즌이기도 하고, 금리 정책과 글로벌 리크스(무역, 금리)까지 겹치는 험난한 구간입니다. 투자자는 경제지표 발표 일정과 대형 이벤트(트럼프 발표 및 엔비디아 실적)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발언, 중국과의 관세 협상 진전 여부, 미국 주요 경제 지표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글로벌 시장을 흔드는 변수들을 잘 체크하시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세워나가시길 바랍니다.
※ 본 포스팅은 2025년 4월 27일 기준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당신은 매달 40만원을 월급에서 더 내야 한다. (0) | 2025.04.30 |
---|---|
민주당, 또 다시 '단독' 1조 추경 추진 (0) | 2025.04.29 |
트럼프, 교황 장례식에서 파란 정작 착용 논란 (0) | 2025.04.27 |
한덕수 총리 대선 출마, 홍준표 단일화 합의? (0) | 2025.04.27 |
인도-파키스탄 무역 전면 중단 사태, 핵보유국 충돌로 번지나? (1) | 2025.04.24 |